본문 바로가기

developer/인프런 - 스프링 입문

[인프런 - 스프링 입문] 3/18 개발공부일지(2) - assertThat 사용, @AfterEach, TDD의 간단한 개념

asssertThat

Assertions.assertThat().isEqualTo();

강의에서 시키는 대로 했는데 method 호출이 안 되네....??? 왜...

뭐 되게 하면 되지.. 하고 좀 더 기다려보다가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Assertions.assertThat(member).isEqualsTo(result);

------------------------------------------------------------------------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assertThat(member).isEqualTo(result);

아래처럼 입력하면 테스트 진행 가능:)

호출하는 라이브러리를 바꾸고 코드 수정하면 정상 작동!

 

근데 테스트 코드 실행 소요시간

Assertions.assertEquals(member, result);

요게 더 짧은데, 흠냐 뭐가 좋을지는 테스트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확인하고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공부해 보고 따져봐야 할 것 같다.

 

fn+⇧+F6 부분

text  변환!

커서 위치에 따라 test code 빌드 대상 변경되네 ㅋㅋㅋ

 

annotation

@AfterEach 

method 실행 완료 후 자동 실행 되도록 하는 annotation!(callback-method로 활용)

입력된 자료를 초기화하여 method간 의존관계를 없앤다!

 

Annotation 이란 것도 있군... ㅋㅋㅋㅋㅋㅋ

 

TDD

(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

구현할 코드 작성 전에 그에 맞는 테스트 코드르 먼저 짜놓고 테스트 코드에서 동작할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이라는 간단한 설명을 해주심.

 

테스트 코드 없이 개발하기는 불가능 하다.

수만 줄의 코드를 가지고 함께 개발할 때는 꼭 필요하니 별도 공부를 꼭꼭꼭 하도록 하자.

 

어제 들었던 강의 다시 들었는데, 2시간 동안 1강의 들었다. 16분짜리 ㅋㅋㅋㅋ 고생했다 나 자신